전략수행 2

간접적 / 직접적 전략수행

데이터를 이용한 전략수행은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다. 앞서 얘기했던 직접적 전략수행은 머신러닝처럼 데이터를 이용해서 직접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얘기할 '간접적 전략수행'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략방향을 수립하고 그로부터 전략방향(아이디어)들을 도출해서 시장검증을 거치는 일련의 비즈니스 의사결정 프로세스의 발전을 가리킨다. 이러한 전략기획 및 수행의 경우 대게 실무부서가 주체가 되고 데이터는 그들의 선택을 돕는 역할을 한다. 직접적 전략수행직접적 전략수행은 자동화나 디지털화의 성능 및 성과만 뚜렷하면 실무에 도입하는 데 있어 (대체되는 인력의 반발을 제외하면) 비교적 수월하다. 데이터 담당자 입장에서도 본인의 업무에만 집중하면 되기 때문에 선호하는 방향이다. 간접적 전략수행반면 간접적 ..

1. 직접적 전략수행 : 최적화와 자동화

데이터를 이용한 직접적인 전략수행은 디지털화를 통한 자동화와 머신러닝을 통한 최적화로 이뤄진다. 좁은 의미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이 직접적인 전략수행에 해당한다. (간접적인 전략수행은 분석을 통한 전략수립 과정을 통해서 이뤄진다)| 자동화자동화는 문서나 장부에 수기로 기록하던 것을 디지털화해서 관리나 운영 측면에서 효율화하고 거기서 나오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변화를 말하기도 하고, 파일기반 데이터 관리, 즉 엑셀 같은 파일 중심으로 각자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고 공유를 위해서 파일을 주고받는 수준을 코딩을 통해 자동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화 작업은 단순 반복작업으로 인한 인력낭비를 막고 인력을 보다 생산적인 업무에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실제 현장에서도 1주일 걸리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