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의사결정 2

1. 직접적 전략수행 : 최적화와 자동화

데이터를 이용한 직접적인 전략수행은 디지털화를 통한 자동화와 머신러닝을 통한 최적화로 이뤄진다. 좁은 의미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이 직접적인 전략수행에 해당한다. (간접적인 전략수행은 분석을 통한 전략수립 과정을 통해서 이뤄진다)| 자동화자동화는 문서나 장부에 수기로 기록하던 것을 디지털화해서 관리나 운영 측면에서 효율화하고 거기서 나오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변화를 말하기도 하고, 파일기반 데이터 관리, 즉 엑셀 같은 파일 중심으로 각자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고 공유를 위해서 파일을 주고받는 수준을 코딩을 통해 자동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자동화 작업은 단순 반복작업으로 인한 인력낭비를 막고 인력을 보다 생산적인 업무에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실제 현장에서도 1주일 걸리던 ..

3. 디지털 전환 : 의사결정 궤도 진입

데이터 관련 팀들이 의사결정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 활용 수준이 기존 실무자들의 의사결정 방식과 같은 높이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데이터가 활용되지 않더라도 기존 실무자들은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일정한 수준의 논리와 확신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려왔다. 이들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빠르게 판단하고 실행하며, 전략방향을 설정하는 데 익숙하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기존 의사결정 방식과 동등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려면, 분석 결과가 실무자들이 기존 방식에서 얻는 확신과 비슷한 수준의 신뢰도를 가져야 한다.여기서 중요한 세 가지 요소가 있다. 우선, 분석 결과는 반박하기 어려울 만큼 논리적이어야 한다. 실무자들이 기존의 방식으로 얻는 확신과 동등한 수준의 신뢰를 제공해야 하며, 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