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데이터 인프라/① 데이터 인프라 : 데이터 수집

2-2. 고객 데이터 수집 : 오프라인 고객 데이터 수집

모딜리아니 연구실 (Lab, Modigliani) 2024. 8. 21. 07:30


 
1) GPS
고객의 오프라인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고객 휴대기기의 GPS 신호를 바탕으로 실시간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움직이는 대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실제 위치와의 오차가 다른 기술에 비해서 크다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구글 지도에서 제공하는 GPS를 통한 위치 오차는 20m 내외로 제공하고 있다.
오차가 큰 단점을 보완하여 서비스화 시키기 위해서 지오펜싱(Geofencing)을 설정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지오펜스는 원하는 영역 (보통 km 단위의 넓은 영역)의 좌표로 영역을 정해놓고, 사용자의 GPS 신호가 그 영역 안에 들어왔을 때 마케팅 메시지를 보낸다든가 하는 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https://thumbvista.com/2022/04/what-is-geofencing/


2) 와이파이(Wi-Fi) 신호
와이파이 기술은 GPS보다 실내에서의 정확도가 높아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거나, 매장 등 실내에서의 고객 행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Wi-Fi 핑거프린트라는 개념으로 매장이나 위치에서의 와이파이 신호(와이파이 리스트, 세기 등)를 수집해서 저장해 놓은 다음, 고객의 휴대폰에서 수집한 와이파이 신호가 이와 비슷한 경우 근처에 왔다는 것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미지 참조. 각 휴대폰에서 잡히는 와이파이 신호들의 종류와 신호세기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GPS에 비해서 실내에서 정확도가 낫다는 장점과 (특히 한국 같은 경우) 대부분의 장소에 와이파이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서 활용하기에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많은 장소들의 와이파이 핑거프린트를 수집하는 어려움, 와이파이 신호기의 설치, 제거, 변경 등 통제할 수 없는 환경 등 상업화까지는 개선이 필요하다.   

https://hackaday.com/wp-content/uploads/2016/12/wifi-location-thumbnail.jpg?w=600&h=600

 
3) 핸드폰 통신기록
휴대폰 통신기록을 이용한 오프라인 데이터 수집 기술은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과 연결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한다. 휴대폰 기지국은 도시 및 농촌 지역을 포함해서 광범위한 지역을 커버하므로, 도시 외곽이나 실외에서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별도 GPS를 활성화하지 않아도 휴대폰 통신을 통해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수집된다. 또한 통신기록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하다. 반면 낮은 정확도와 통신기록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이 개인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KT의 데이터 추출 방식을 보면 기지국에 잡힌 신호가 잡히는 시간대와 잡히는 주기 등으로 유동인구와 거주인구를 산출해서 데이터화 시킨다.

 

4) CV(Computer Vision)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CV)은 이미지나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객체 인식, 위치 추적, 움직임 분석 등을 수행하는 기술로 주로 CCTV 카메라, 스마트폰 카메라, 드론 등 다양한 장치와 결합하여 사람들의 위치나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한다. 실내외에서 매우 정확하게 센싱 되고, 휴대폰 등 물리적 접점 없이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 정확한 인식과 추적을 위한 높은 서비스 구축 및 운영비용과 개인정보 문제가 단점이다.  

이미지나 동영상에서 사람은 물론 객체도 인식한다.

 
5) 비콘 (Beacon)
비콘(Beacon)은 블루투스 저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해 특정 위치에서 무선 신호를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소형 장치다. 비콘 신호가 스마트폰이나 다른 BLE 지원 장치에 도달하면, 해당 장치는 비콘의 ID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특정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점에 설치된 비콘이 고객의 스마트폰에 할인 쿠폰을 전송하거나, 박물관의 전시품 앞에 서면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것 등이 있다. 장점은 비콘은 소형 장치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별도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배터리 교체 주기만 신경 쓰면 되어 유지관리가 쉽다. 또한 GPS 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에서도 비교적 정확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짧은 통신 범위(보통 10m에서 100m 정도)와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앱을 설치해야 하는 허들이 존재한다.

비콘을 이용해서 편의점 근처에오면 할인쿠폰을 전송한다 (출처 :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72942)

 

반응형